코드 진행을 알아야 카피와 편곡을 할 수 있다!

기타를 연주하거나 곡을 만들다 보면 ‘코드 진행’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코드 진행은 단순한 코드 나열이 아닙니다. 음악의 흐름과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곡을 카피하거나, 곡 구조를 이해하고 편곡하려면 꼭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 코드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면, 곡이 왜 그렇게 들리는지도 자연스럽게 보이게 됩니다.


대표적인 코드 진행 패턴

많은 음악에서 자주 쓰이는 코드 진행은 정해져 있습니다. 이런 코드들은 다양한 장르에서 반복해서 등장합니다. 그만큼 듣는 사람에게 익숙하고 편하게 다가옵니다.

  1. I–V–vi–IV
    예: C–G–Am–F
    팝 음악에서 가장 흔한 코드 진행입니다. 밝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I–vi–IV–V
    예: C–Am–F–G
    예전 팝송에 자주 나오는 진행입니다.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이 납니다.
  3. ii–V–I
    예: Dm–G–C
    재즈에서 많이 나옵니다. 긴장감과 안정감의 흐름이 잘 느껴집니다.
  4. I–IV–V–I
    예: C–F–G–C
    단순하지만 힘이 있습니다. 블루스나 록 음악에서 자주 쓰입니다.
  5. vi–IV–I–V
    예: Am–F–C–G
    감성적인 분위기를 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요즘 팝 음악에서도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6. I–IV–vi–V
    예: C–F–Am–G
    편안하면서도 감정을 건드리는 흐름을 만듭니다.
  7. I–V–I–IV
    예: C–G–C–F
    반복이 많아 안정적이고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습니다. 포크나 컨트리에서 자주 나옵니다.

이런 코드들은 기본이지만, 많은 노래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됩니다.


코드 진행의 원리 – 도미넌트 모션

코드에는 흐름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원리가 ‘도미넌트 모션’입니다.

도미넌트 모션이란, 긴장감 있는 코드(보통 Ⅴ)에서 안정된 코드(보통 Ⅰ)로 이어지는 흐름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C키에서 G7에서 C로 갈 때, 귀가 편안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이게 바로 긴장 → 해소의 흐름입니다.

사람의 감정 구조와도 닮아 있어서, 많은 음악에서 이 원리를 자연스럽게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코드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Tonic (I, III, vi): 중심이 되는 코드. 안정감이 있습니다.
  • Subdominant (ii, IV): 중간 연결 역할을 합니다.
  • Dominant (V, vii°): 긴장을 만들고 다음 코드를 기대하게 합니다.

이 흐름을 이해하면 코드가 왜 그렇게 흘러가는지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다이아토닉 코드와 각 코드의 도수

다이아토닉 코드는 한 조(key) 안에서 만들어지는 7개의 기본 코드입니다. 조 안에 있는 음으로만 만들어져서 듣기에 편안합니다.

C 메이저 키에서의 다이아토닉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도수코드기능(Function)
CTonic
ⅡmDmSubdominant
ⅢmEmMediant
FSubdominant
GDominant
ⅥmAmTonic substitute
Ⅶ°BdimLeading-tone / Dominant substitute

이 7개의 코드가 곡의 기본 재료가 됩니다. 감성적인 곡은 Ⅵm이나 Ⅱm 같은 마이너 코드들을 중심으로 쓰고, 경쾌한 곡은 Ⅰ, Ⅳ, Ⅴ를 중심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다이아토닉 코드를 모르신다면, 아래 게시글에 잘 설명되어 있으니 참조하세요


실제 노래의 코드 진행

이제 실제 곡에 사용된 코드 진행을 보겠습니다. 한 번 실제로 연주하면서 느껴 보세요.

  • 이적 – 걱정 말아요 그대
    C – G – Am7 – Em – F – C
    지나간 것은 / 지나간 대로/ 그런 의미가 있죠/
    (Ckey, 시작음 E)
  • 김광석 –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G key)
    G – D – Em – Bm – C – G – D – G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내 텅 빈 방문을 닫은 채로/
  • 김진호 – 가족사진 (C key)
    C – G – Am – F
    바쁘게/ 살아온/ 당신의/ 젊음에-

글 보기

이처럼 익숙한 곡들의 흐름을 분석해 보면, 코드 진행이 어떻게 감정을 설계하는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마무리

다음 글은 코드 진행을 알고, 귀로 코드를 카피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 보겠습니다!